얼굴의 세 가지 비율, 삼정(三停)이란?
관상학에서는 얼굴 전체를 이마부터 눈썹까지(상정), 눈썹부터 코끝까지(중정), 코끝(인중)부터 턱까지(하정)의 세 부분으로 수평으로 나눕니다.
이를 **삼정(三停)**이라고 부릅니다.
이 세 부분의 비율과 형태를 통해 그 사람의 인생을 초년, 중년, 말년으로 나누어 운의 흐름을 분석합니다.
- 상정 (上停): 이마에서 눈썹까지. 초년운(15~30세)을 나타내며, 지혜, 학문, 부모운을 봅니다.
- 중정 (中停): 눈썹에서 코끝까지. 중년운(31~50세)을 나타내며, 직업, 결혼, 개인적인 노력을 봅니다.
- 하정 (下停): 인중에서 턱까지. 말년운(51세 이후)을 나타내며, 노년의 평화, 자녀운, 삶의 기반을 봅니다.
1. 상정 (上停) - 초년운 (15~30세)
상정은 15세에서 30세까지의 운, 즉 초년운을 나타냅니다.
상정(이마)이 넓고, 솟아 있으며, 빛나고, 흉터가 없으면 젊었을 때의 행운, 질병 감소, 부유한 가정, 부모의 보살핌을 나타냅니다.
반대로, 이마가 좁거나, 꺼져있거나, 상처가 있는 등 불완전한 상정은 젊은 시절의 불운이나 고생을 나타냅니다.
2. 중정 (中停) - 중년운 (31~50세)
31세에서 50세까지의 운을 나타내며,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입니다.
상정이 선천적인 운(부모운)을 상징한다면, 중정은 개인적인 노력의 결과를 나타냅니다.
밝은 눈, 우아한 눈썹, 적당히 솟은 광대뼈와 코는 강한 의지와 풍부한 활력을 나타냅니다.
통통한 정점 측면과 두꺼운 광대뼈가 있는 높고 곧은 코를 가지고 있다면 진취적인 정신을 가지고 어려움을 견디고 열심히 일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반면에 높은 광대뼈와 큰 코를 가진 여성이라면 강한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독립적이며 남편과 자주 다툰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반대로, 눈썹이 흐리거나, 코가 낮거나, 광대뼈가 빈약한 짧은 중정은 중년의 약한 의지와 불운, 성공을 어렵게 만드는 우유부단한 태도를 나타냅니다.
3. 하정 (下停) - 말년운 (51세 이후)
51세 이후의 운세, 즉 말년운을 나타냅니다. 인중, 입, 턱이 여기에 속합니다.
곧고 반듯하며 풍만한 하정(특히 턱)은 노년의 행복하고 풍요로운 삶, 좋은 자녀운, 튼튼한 건강을 상징합니다.
반대로, 길고 가늘거나 너무 뾰족한 하정은 평생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행복과 재산이 부족한 가난한 노년을 상징할 수 있습니다.
4. 삼정(三停)의 종합적인 균형
관상에서는 세 비율의 길이와 균형을 매우 중요하게 봅니다.
이상적인 얼굴은 상정, 중정, 하정의 길이가 1:1:1로 균등하게 배분된 얼굴입니다.
이는 평생 동안 큰 굴곡 없이 편안하고 걱정 없는 삶을 의미합니다.
- 중정과 하정이 상정보다 좋은 경우: 초년 고생, 중년 이후 발복. 즉, 젊은 시절의 바쁜 삶과 중년 이후의 풍요로운 삶을 상징합니다. (자수성가형)
- 상정과 중정이 좋고 하정이 약한 경우: 중년까지는 성공가도를 달리나, 노년에는 씁쓸한 삶을 살 수 있음을 상징합니다.
- 상정과 중정보다 하정이 좋은 경우: 이는 위대한 정신이 천천히 성숙해지는 것을 나타내며, 말년으로 갈수록 복을 누리는 대기만성형입니다.
결론: 비율은 운명의 '그릇'
얼굴의 세 비율(삼정)은 그 사람의 인생 전반의 흐름을 보여주는 '그릇'과 같습니다.
하지만 삼정의 비율만으로는 운명 전체를 판단할 수 없습니다.
그 그릇 안에 담기는 내용물, 즉 오관(눈, 코, 입, 귀, 눈썹)의 생김새와 조화를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얼굴 비율이 평균적이라도 눈빛이 흐리고 코가 낮으며 입이 삐뚤어져 있다면 좋은 운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결국 중요한 것은 각 부위의 조화와 균형이며, 이는 평소의 마음가짐과 표정 관리를 통해 긍정적으로 개선해 나갈 수 있습니다.